안녕하세요, 오늘은 학교 내에서 사용되는 백신 프로그램인 ‘알약’에 대한 로그 분석과 함께 악성코드 감염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고려대학교에서 이루어진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악성코드 감염 현황과 그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약의 기능과 중요성
알약은 고려대학교의 모든 PC에 설치되어 있는 백신 프로그램으로, Windows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 서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악성코드로부터 안전하게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약은 2020년 12월에 업그레이드를 통해 랜섬웨어 및 AI 기반 자동 분석 기능을 추가하여 보안 성능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패치관리 시스템(PMS)과 내PC지키미라는 기능도 함께 제공되어, OS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악성코드 감염 로그 분석
이번 분석은 2020년 12월 18일부터 2021년 2월 26일까지 72일간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총 9,288건의 악성코드 감염 로그가 수집되었으며, 이 로그들은 알약을 통해 감염이 확인되고 조치된 사례들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하루 평균 129건의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알약 외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PC의 감염 사례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감염 사례는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악성코드 종류 및 감염 사례
관찰된 악성코드는 총 17가지로, 이를 통해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목록은 감염된 악성코드의 종류와 그 비율을 정리한 것입니다:
- 웜: 53.45%
- 트로이목마: 36.22%
- 악성 애드웨어: 0.29%
- 스파이웨어: 0.27%
보시다시피, 상대적으로 덜 위협적인 악성코드보다는 웜과 트로이목마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 악성코드는 시스템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악성코드 예방을 위한 주요 수칙
최근 비대면 서비스와 온라인 수업의 증가로 인해 보안 위협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이 악성코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 할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뢰할 수 있는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 운영 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
-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첨부 파일이나 링크는 클릭하지 않기
이 외에도, 주기적으로 PC의 보안 설정을 점검하고,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해 정기적으로 시스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및 권장 사항
악성코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사용자의 시스템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보안을 위해 정기적으로 감염 로그를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는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알약을 통해 감염된 로그를 분석한 결과, 악성코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중요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알약의 설치가 필요하신 분들은 캠퍼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식기반포털시스템 → 정보생활 → 관리프로그램 안내 → 기타 프로그램’을 통해 안내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통해 악성코드 감염 로그의 중요성과 예방 방법에 대해 깊이 이해하시고, 보다 안전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구축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물으시는 질문
알약 백신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요?
알약은 PC를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춘 백신 소프트웨어로, 랜섬웨어 방지와 AI 기반 분석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악성코드 감염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최근 72일 동안 수집된 데이터에 따르면 총 9,288건의 악성코드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하루 평균 약 129건의 감염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감염된 악성코드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확인된 악성코드는 총 17종이며, 주로 웜과 트로이목마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보안에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악성코드 감염 예방을 위한 조언은 무엇인가요?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운영 체제 및 백신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며, 출처가 불확실한 링크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